김대중 전 대통령님에 대한 기사들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외국의 평가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2976605
[특파원 리포트] 김대중 대통령의 이름값 (김대중 대통령의 이름이 또 다시 워싱턴에 회자되고 있다. 미셸 깡드시 前IMF총재, 제임스 울펀슨 세계은행총재, '레이건신화' 마이크 디버등)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021711
[김 前대통령 서거] 민주화·대북 화해정책… 현대사에 큰 획(시련·영광 점철된 한국정치 50년의 거목)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181627195&code=910100
[김 前대통령 서거] 암살·납치·사형선고… 5차례나 죽음 문턱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181616245&code=910100
후광 김대중 평전 [1회] 무수한 ‘총구’앞에서 살아남아
http://blog.ohmynews.com/kimsamwoong/286007
김대중 가는 길이 곧 역사였다
[DJ의 일생] '한반도의 미래' 개척한 평화의 지도자 ("미국의 오바마 정권이 자리를 잡으면 올 가을부터 본격적인 북미 대화를 시작할 것이다.", "햇볕정책이 무슨 죄냐"…노무현의 중심을 잡아준 한마디, "햇볕정책이 무슨 죄냐"…노무현의 중심을 잡아준 한마디, 6·15는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80년대 서독의 보수보다 못한 한국 보수, 그리고 DJ의 절망)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818141445§ion=01
청와대 출입기자가 본 DJ /굿바이 DJ
http://blog.ohmynews.com/airon/234797
노무현 역사 이어달리기, 질투는 없다
故노무현前대통령 "DJ는 그 시기에 가장 탁월했던 정치인"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52937&PAGE_CD=N0000&BLCK_NO=3&CMPT_CD=M0001&NEW_GB=
DJ측 "<중앙> 문창극 칼럼, 최소한의 예의도 없다"
오늘자 <중앙일보>에 반론 게재... "비자금 조성 의혹 보도들 모두 허위판명"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94643&CMPT_CD=P0000
한국인 노벨상수상 가로막는 노벨상모독- "이상한 한국" 세계가 개탄하는 보수집단의 도넘은 노벨상 모독(노벨위원회 군나르 위원장, 노벨평화상 수상자 오르타 대통령)
http://breaknews.com/new/sub_read.html?uid=81106§ion=section1
무책임 언론보도에 멍드는 국민(노벨평화상 로비설-조중동)
http://www.hani.co.kr/section-005100025/2002/10/005100025200210152255435.html
보수측의 대북지원 현금 '뻥튀기' 논란
지난 10년간 정부가 북한에 지원한 '현금'이 실제로는 40만 달러에 불과한데도, 7천배가 넘는 29억 달러로 부풀려져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199697
[DJ서거]국가 위기마다 ‘DJ노믹스’처방…IT강국 터 닦았다(김대중 경제팀 노력의 결과, 우리경제는 세계가 놀랄만한 속도로 제자리를 찾는데 성공했다. 과감한 기업ㆍ금융 구조조정, 공적자금을 활용한 속도 빠른 부실 정리, 외채 정리와 외환보유고 확충을 통한 국가신용도의 신속한 회복 등 그는 한국경제를 위기에서 탈출시켜 이후 경제성장의 기틀도 만들어냈다. 최악의 위기에 빠졌던 한국경제를 정상궤도에 올려놓은 김 전 대통령의 경제적 성과에 이견을 다는 이는 없다. 작년 미국에서 촉발된 금융위기 속에서 지난 98년 이후 그가 펼친 외환위기 극복 과정은 배워야 할 선례로 수 차례 주목받기도 했다. 김 전 대통령은 떠났지만 그가 한국경제에 기여한 족적은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08/18/200908180669.asp
MB “한국, 1990년대 말 금융위기 극복 비결은” WSJ에 기고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327500012
MB, '잃어버린 10년'이라던 김대중 업적을 극찬? 이명박 대통령의 美 <월스트리트 저널> 기고문을 보고 느낀 점
http://www.nakore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45
경제계,경제단체 "외환위기 조기극복 이끌어" [민주화에 큰 족적을 남기셨으며 IMF(국제통화기금) 경제위기 때는 해외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 경제의 조기 회복에 기여하셨다. "경제계는 이러한 김대중 전 대통령 생전의 `나라사랑` 정신을 높이 기리며 어려운 경제 상황을 조기에 극복하는 데 적극 나서 선진 일류국가 건설에 더욱 매진하겠다", "김 전 대통령은 기업을 위하고 기업을 이해했던 지도자였다"면서 "금 모으기 등 국민적인 노력으로 IMF 사태를 조기에 극복했던 것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일"-전경련,한국무역협회,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 대기업등..)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438490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어록모음 "난 모두를 용서했다"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437813
<뉴욕타임스> "아시아의 '넬슨 만델라' 서거" 애도(1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외신들은 서울발 속보로 전세계에 타전하고 있다. "서구인들보다 자국민들에게 인색한 평가 받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2&aid=0001953502
김대중 前대통령 서거 외국 반응[상세한 기사 내용] (미국, 유럽[독,영,프, 등], 일본, 중국, 러시아 매체들, 그리고 아랍뉴스채널인 알-자지라같은 중동언론 등 세계 주요 언론은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소식을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438414
내가 만난 최고의 관객 DJ를 추모하며